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주식

주식 재무제표 용어 - ROE, ROA 의 의미, 계산법

by 테루일 2022. 6. 15.

 

저번 포스팅에는 PER, EPS 를 알아보았는데요. PER는 주가가 그 회사의 수익의 몇 배가 되는가이고, EPS 는 1주 당 수익을 나타내는 용어였습니다. 이번 시간에 알아볼 용어는 ROE 입니다. PER와 마찬가지로 주식 시장에서 많이 참고하는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세계적인 투자가인 워렌 버핏도 ROE가 15%가 넘는 기업에 가치투자하라! 라고 조언했을 정도니 그 중요성이 느껴지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ROE 란 무엇인가? ]

 

ROE (Return On Equity) = (당기순이익 / 자본총계) * 100 [%]

ROE 는 Return On Equity 의 약자로 우리나라 말로는 '자기자본수익률' 이라 합니다. 여기서 Equity 가 자기자본이라는 뜻으로 즉 주주의 자본을 투자해서 돌아오는 (Return) 수익률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쉽게 예를들어 어떤 회사가 1000억의 자본을 투자해 100억의 당기순이익을 얻었다면 이 회사의 ROE는 10% 가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ROE 는 경영의 효율성을 의미합니다. 적은 자본을 투입해 많은 수익을 얻으면 높은 ROE를 나타내고, 효율적인 경영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지요. 투자자는 이 ROE를 참고하여 경영자가 내 돈을 적절히 사용하고 있는 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ROE 는 일단 높을수록 좋습니다. '일단'이라 표현한 것은 ROE의 한계 때문인데 뒤에서 더 자세히 적어보겠고, ROE가 높은 기업은 좋은 기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투자가 버핏은 그의 저서에서 3년 간 ROE 15% 를 넘게 유지하는 기업에 투자하라, 라고 했는데요. 사실 이 기준은 높은편이라 해당하는 기업은 소수입니다. 그만큼 ROE 의 중요성을 강조한 말이라 이해하면 될 것 같습니다.

 

하지만 높은 것은 그렇다 치고, 그럼 낮은 ROE는 어디까지 용인이 가능할까요? 투자자마다 기준이 다르겠지만 적어도 은행의 예금 이자율보다는 높아야 하겠죠. 예를들어 현재 예금 이자율이 3%인데 내가 투자한 회사가 그것보다도 수익을 얻지 못하면 투자처로써 매력을 느끼지 못할 것입니다.

 

 

[ ROE 의 한계 - ROA, 배당 ]

 

ROE 는 강력한 투자 지표입니다. 하지만 이 지표를 맹신하면 안되는 이유가 있는데요. ROE를 인위적으로 높이는 몇 가지 방법이 있기 때문입니다.

 

첫 째는 레버리지를 크게 일으키는 것입니다. 회사의 투자금은 주주의 돈 즉 법인이 소유한 자본일 수도 있지만, 은행에서 돈을 빌려서 투자를 할 수도 있습니다. 만약 어떤 회사가 1000억을 투입했는데 그 중 800억이 부채라면 리스크(risk) 가 큰 사업이라고 할 수 있겠죠. 갚아야 하는 돈 때문에 꾸준한 수익을 보장하기가 힘들다는 의미입니다.

 

이런 헛점이 있기 때문에 투자자는 ROE와 함께 기업의 부채나 ROA 지표를 함께 보는게 좋습니다. ROA는 ROE에서 부채를 고려한 값을 나타내는 지표인데요. ROE가 높은데 ROA가 낮다면 자본에 비해 부채가 높은 기업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ROE와 ROA의 값이 크게 차이나지 않는 지 확인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둘 째는 배당입니다. 일반적인 기업은 매년 지속적으로 돈을 벌어들입니다. 이 말은 자본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므로 수익이 증가하지 않으면 ROE는 시간이 갈 수록 떨어진다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끔 수익이 정체되어 있는데도 고 ROE를 유지하는 회사를 볼 수 있는데요. 그 비결은 바로 배당을 하는 것입니다. 매년 버는 돈을 자본으로 축적하지 않고 주주들에게 바로 돌려주는 것이죠. 이러면 자기자본이 정체되거나 줄어들게 되므로 수익에 비해 높은 ROE를 얻을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고 ROE 기업이라면 코웨이를 들 수 있겠는데요. 2017~19년 까지 30% 이상의 높은 ROE를 유지해왔는데 해당 년도에 거의 70%에 달하는 배당성향을 보이고 있었습니다. (배당성향 : 당기순이익 중 배당에 쓰인 금액 비율)

 

 

[ 정리 ]

 

장기로 투자할만한 주식을 찾을 때 ROE 를 활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정리하자면

1. ROE 가 높으면 투자 대비 돈을 잘버는 회사라는 뜻

2. 부채의 비중을 고려한 ROA 지표를 같이 보기

3. 배당이 너무 많지 않은지 체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