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금리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어 서민들의 이자 부담이 심해지고 있습니다. 금리를 올리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그 중 하나는 미국 중앙은행이 올해 금리를 급하게 올리는 것에 대응하고자 지속해서 올린 것인데요. 외화 자본에 대한 의존도가 큰 한국의 구조 상 한국의 금리가 미국의 금리보다 낮아지는 역전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환율이 치솟아 외국인들이 빠져나가는 그림이 그려질 수 있습니다. 때문에 한국은 미국보다 대체로 금리를 높게 유지하는 기조를 유지하고 있는 것입니다.
[ 연방준비제도, Fed ]
이렇게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미국의 금리를 결정하는 곳이 바로 미국의 연방준비제도입니다 (Federal Reserve System, Fed). 보통 한국에서는 연준이라고 부르지요. 연방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유는 미국이 기본적으로 주의 연방(United States)으로 구성된 나라이기 때문입니다. 미국 전역에는 중앙은행의 역할을 하는 12개의 연방준비은행(민간)이 존재하는데 이 은행들을 통괄하는 곳이 연방준비제도이사회 (FRB) 라는 곳이고, 이 연방준비제도이사회를 통해 운영되는 미국의 중앙은행 시스템을 바로 연방준비제도라고 하는 것입니다.
연방준비제도 (Federal Reserve System, FED)
연방준비제도이사회 (Federal Reserve Board, FRB)
[ 연방준비제도이사회, FRB ]
즉 Fed는 공익 목적으로 설립된 12개의 민간 중앙은행과 이를 통제하는 연방준비제도이사회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런 연방준비제도이사회는 대통령이 임명, 상원이 인준한 7명의 이사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대통령은 그 중 한명을 의장으로 지명하고 마찬가지로 국회 상원에서 이를 인준하게 되면 4년 임기의 의장직을 수행하게 됩니다. 현재 의장직은 아시겠지만 트럼프 임기 중에 임명된 제롬 파월 의장입니다. 매일 빠지지 않고 전세계 뉴스에 오르내리지요. 이처럼 이사회의 의장은 통화 정책에 대한 막강한 권한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생각보다 이사회는 정치와 독립적인 기관이라고 합니다. 그 이유는 미국 전역에 있는 12개의 민간 중앙은행이 있기 때문인데요. 언뜻보면 민간이 중앙은행의 역할을 하는 것은 그들에게 별 이득이 없어보입니다. 하지만 이 연방준비은행들은 미국의 정책에 따라 화폐발행의 연 6%를 배당금으로 가져가기 때문에 민간은행에서도 기꺼이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이사회의 이사들은 대통령과 의회가 임명하지만, 대상자 중에는 민간 금융기업이나 투자회사에서 경력을 쌓은 후보들도 지명되곤 합니다. 이런 정책들을 보면 민관이 서로 감시하는 독립적인 기관이라 볼 수 있습니다.
[ 이사회의 업무 ]
이런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 주요 업무는 미국의 금융기관, 법인, 회원 은행들의 관리, 감독, 그리고 은행의 증거금 책정 등이 있지만, 가장 중요한 부분은 미국 통화정책의 수립입니다. 뉴스에 아주 아주 자주 나오는 내용이지요. Fed 의 구성 조직 중 하나인 FOMC 를 통해 금리를 결정하고 앞으로의 금융 정책 방향을 결정하게 됩니다. 그리고 FOMC 회의 후 의장이 나와 논의한 내용을 언론에 발표하게 되면 우리가 비로소 알 수 있게 되는 것이지요. 보통 주식 장 중에 발표하기 때문에 발표 내용에 따라 주가 그래프가 크게 춤추곤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연방준비제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정리하자면 연준은 미국 통화정책을 수립하는 독립적인 기관이라 할 수 있고 이 통화정책은 FOMC 회의에서 큰 방향을 결정한다정도로 말할 수 있겠습니다. FOMC 에 대해서는 내용이 길어지므로 다음 글에서 적어보겠습니다~
'재테크,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OPEC 회의와 유가, 원유 산유량과 수출국 순위 (0) | 2022.10.23 |
---|---|
FOMC 회의란? 일정, 발표, 금리 (4) | 2022.10.02 |
EV/EBITDA 뜻, 의미, 계산법, 예시 (0) | 2022.08.28 |
사내유보금, 이익잉여금의 의미, 쌓아 놓은 현금인가요? (0) | 2022.08.04 |
주식 재무제표 용어 - BPS, PBR 의미, 계산법 (0) | 2022.07.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