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주택의 그 달 주거 비용은 다음 달 중순 이후에 정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다보니 내가 집주인이든 임차인이든 이사를 가게 되었을 때 해당 달의 경우 비용 정산을 못하게 되는데요. 이럴 때 관리비와 공과금을 어떻게 정산해야 하는 지 알아두어야 이사 과정이 매끄럽겠죠? 아래에서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 아파트, 오피스텔 관리비 정산 ]
관리사무소가 있는 아파트와 오피스텔의 경우 크게 걱정할 부분은 없습니다. 왜냐면 관리실에서 각 세대의 관리비와 공과금을 다 기록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이사에 앞서 관리실에 이야기를 해주면 거주일까지의 관리비를 계산하여 계산서를 보내주게 되고, 이사 당일에 정산을 마치면 되겠습니다.
하지만 관리사무소가 없거나, 일반적으로 빌라라 부르는 다가구, 다세대, 연립 주택의 경우는 각 비용을 세대주가 신경 써서 개별 계산을 해야합니다. 또 일부 아파트의 경우도 개별 정산금이 있을 수 있으니 잘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 다가구주택, 다세대주택, 연립주택, 빌라 관리비 정산 ]
해당 주택의 경우는 공과금을 각 종류별로 개별 정산하여야 합니다. 여기서 공과금이라 하면 대표적으로 전기료, 가스비, 수도세 등이 있고, 각 비용을 이사 당일 개별 정산하거나 부동산 중개인을 통해 해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 전기요금 ]
먼저 전기요금의 경우 한국전력공사를 통해 정산을 해야합니다. 이사 당일에 국번 없이 123번으로 전화를 거시면 고객센터로 연결이 되는데, 전력사용지침인 검침번호와 집 주소를 알려주시면 해당일 기준 요금을 정산하실 수 있습니다.
신용카드나 계좌로 정산이 가능한데 만약 고객센터가 전화를 받지 않을 시 한전 어플을 통해서도 정산하실 수 있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 가스비 ]
도시가스요금은 전기료 정산과 비슷하게 진행하시면 됩니다. 관할 도시가스 고객센터에 전화하여 가스 계량기의 검침 숫자를 말해주면 해당 이사일의 정산요금과 계좌번호를 알려주는데요. 요금을 전부 정산해야 명의 이전이 가능하니 미납요금이 따로 없는 지 잘 확인하여 정산하시면 되겠습니다.
또한 만약 가스레인지 이전 및 철거가 필요한 경우 미리 전화하여 이사일로 예약을 잡으시면 되고, 그럼 도시가스 직원이 집에 방문하여 이전 및 철거를 진행, 가스 정산요금을 산정하여 알려줍니다.
참고로 관할 도시가스 고객센터 번호는 도시가스 고지서에 적혀있고, 혹여나 번호를 찾지 못하더라도 다산콜센터(120번)에 전화하면 연결해준다고 하네요.
[ 수도세 ]
수도요금도 도시가스와 비슷하게 지역마다 관할 센터가 각각 담당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사 당일에 관할 상수도사업본부 고객센터에 전화하여 수도 계량기 숫자를 불러주면, 정산 가능한 계좌와 금액을 안내받으실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고객센터 번호는 수도요금 고지서나 다산콜센터(120번)로 확인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 밖에도 인터넷, TV 와 장기수선충당금 등 정산에 신경써야 할 부분이 많은데요. 하나하나 놓치지 말고 여러번 체크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지금까지 알아본 내용들이 이사할 때 도움이 되셨길 바라면서 마치겠습니다.
'잡학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험 청구 비싼 진단서 그만!! 무료로 발급할 수 있는 서류를 알아보자 (1) | 2024.05.09 |
---|---|
실비 보험 청구하는 방법 쉽게 알아보기!! 모바일로 간편하게 신청해보자! (0) | 2024.04.24 |
스리라차 소스 칼로리! 정말 0칼로리 맞나요? 맛, 다이어트, 특징 (1) | 2024.03.05 |
갑을병정 60갑자, 육십갑자에 대한 의미 - 천간, 지지 (0) | 2023.03.09 |
불소 치약, 함량이 높은 치약을 써야 할까? 불소의 역할과 적정량 (0) | 2023.02.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