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연차 개수 계산, 발생 기준 회계연도 입사일

by 테루일 2024. 3. 14.

 

우리나라는 직장인의 비율이 높은 나라입니다. 그리고 직장인들은 항상 휴가를 기다리며 열심히 일하죠. 일반적인 회사원이라면 1년 기준으로 발생하는 연차를 사용하여 휴가를 보내게 되는데요. 이 연차는 근로기준법상 일정 개수 이상을 보장하게 되어 있습니다.

 

다만 이 연차 발생 개수 계산이 꽤나 복잡하기 때문에 보통 회사원들은 어련히 잘 나오겠지라는 생각만 더러 하는데요. 연차는 직장에 다니는 국민이 가지는 중요한 권리이기 때문에 본인의 것을 잘 알아두는 게 중요합니다. 그럼 아래에서 다양한 조건에서의 발생 연차 개수를 알아보겠습니다.

 

 

[ 연차 개수 발생 계산 방법 예시 ]

 

연차는 직장인이 입사 한 후 1년 마다 15개를 지급하게 되어있습니다. 여기서 15개를 받기 위해서는 1년의 80% 이상을 근무 해야합니다. 예를 들어 어느 회사원 A가 2019년 8월 1일에 입사하였다면 1년 만근 후 2020년 8월 1일에 연차 15개를 받을 수 있는 것이죠.

 

하지만 많은 인력을 동시에 관리해야하는 회사 입장에서 각 직원의 입사일을 별도로 관리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래서 회계연도를 적용하여 연차를 지급하는데요. 회계연도 기준이란 연도 별 회계를 시작하는 날짜(1월 1일)에 맞춰 전년도 근무 일수에 따라 연차를 지급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3월 일 수도 있습니다)

 

말씀드렸듯 80% 이상을 근무했다면 15개를 받는 것이고, 만약 중도 입사나 휴직 등으로 근무일이 부족하다면 근무 일수 만큼의 연차를 비례해서 받습니다. 이 때 근무일이 부족한 경우라면 연차 지급 개수 계산은 아래와 같이 할 수 있습니다. 전년도 8월 1에 입사했다고 가정합니다.

&n8bsp;

2년차 연차 발생 개수 계산

 

위의 계산 식에 넣어서 구해보면 8월 1일 입사한 신입 사원은 1년 차에 (365 - 214) = 151일 근무하였고 이를 365로 나눠 보면 전체의 41% 만큼 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음 년도 1월 1일에 이 사원은 15일의 41%인 6.2일의 연차가 발생하게 됩니다. 여기서 소수점은 무조건 올리면 좋겠지만 회사 맘입니다.

 

또한 만 3년을 근무한 근로자에게는 추가로 2년 마다 가산 연차를 부여하는데요. 이 때 회계연도 기준으로 첫 년도는 근무일이 부족하기 때문에 제외하고(...), 2년차부터 만 3년을 근무하면 그 다음 연도 1월 1일에 한 개의 가산 연차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19년 8월에 입사한 A 사원은 20, 21, 22년도에 만근하였으므로 23년 1월 1일에 총 16개의 연차가 부여됩니다.

 

위 내용을 종합하여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연차 발생 개수

 

 

[ 입사 1년 미만 근무한 경우 ]

 

위 내용대로라면 신입사원 1년차는 휴가를 갈 수가 없는데요. 예전엔 실제로 연차를 보장해주지 않았던 때도 있지만 지금은 법이 바뀌어 받을 수 있습니다. 입사 후 1년 미만의 기간에는 월 1개의 특별 유급 휴가가 발생하는데, 1개월 만근마다 발생하므로 1년간 11개의 연차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 특별 연차는 2년차에 받는 6개(위 표에서)의 연차와는 별도로 지급되는 연차입니다. 따라서 2년차에는 첫 1년간 발생하는 11개의 연차와 1월 1일에 발생한 6개의 연차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댓글